안녕하세요, 10년간 다양한 공공기관 RFP를 대응해온 마케터입니다. 오늘은 많은 에이전시들이 어려워하는 공공기관 RFP의 기술평가 항목을 정복하는 방법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공공기관 제안서는 민간 기업과 달리 평가 기준이 명확하고 정량적입니다. 특히 기술평가가 전체 점수의 70~80%를 차지하는데, 이 부분에서 승부가 갈립니다.
공공기관 RFP는 일반적으로 기술평가 70~80점, 가격평가 20~30점으로 구성됩니다. 가격으로 뒤집기 어려운 구조죠. 따라서 기술평가에서 최대한 점수를 확보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실전 팁: 입찰공고문의 "평가기준표"를 엑셀로 정리하고, 각 항목별 배점과 세부 평가요소를 분석하세요. 이게 제안서 작성의 나침반이 됩니다.
이 항목은 "우리가 이 사업을 얼마나 잘 이해하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파트입니다.
만점 받는 구성:
실제로 작년 한국관광공사 프로젝트에서 이 구조로 작성해 만점을 받았습니다. 특히 관광 빅데이터를 활용한 현황 분석이 높은 평가를 받았어요.
체크포인트:
WBS(Work Breakdown Structure) 상세도🔥 핵심: 공공기관은 "검증 가능한 방법론"을 선호합니다. PMI, ISO 등 공인된 방법론을 인용하면서 프로젝트 특성에 맞게 커스터마이징하세요.
투입인력 작성 공식:
프로젝트 관리자(PM) 1명 + 분야별 전문가 + 실무 수행인력
만점 요소:
실무 팁으로, 인력 이력서는 표 형식으로 깔끔하게 정리하고, 핵심 경력은 볼드체로 강조하세요.
이 부분은 많은 제안서가 놓치는 부분인데, 의외로 점수 따기 쉬운 항목입니다.
필수 포함 내용:
공공기관 RFP에는 보통 3~5점의 가점 항목이 있습니다:
💰 꿀팁: 컨소시엄을 구성할 때 가점 요소를 가진 파트너사를 전략적으로 선택하세요. 3~5점이 당락을 좌우할 수 있습니다.
평가위원은 하루에 5~10개 제안서를 검토합니다. 가독성이 생명입니다:
필수 증빙서류:
제출 전 반드시 확인할 사항:
공공기관 RFP는 규정과 절차를 얼마나 잘 이해하고 따르느냐가 성패를 좌우합니다. 창의성보다는 완성도와 신뢰성이 더 중요하죠.
제가 경험한 바로는, 공공기관 제안서는 70% 기본기 + 30% 차별화가 황금비율입니다. 기본을 탄탄히 하고, 그 위에 우리만의 강점을 얹는 거죠.
다음에는 공공기관 제안 PT 발표 전략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
무료 컨설팅 받아보고 싶다면?
무료 컨설팅 신청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