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안서 디자인으로 점수 올리는 3가지 비밀 | 2025년 시각 전략
2025년 11월 08일
#제안서 디자인
#시각적 요소 활용
#RFP 디자인
#제안서 차별화
#2025년 디자인 트렌드

제안서 디자인으로 점수 올리는 3가지 비밀 | 2025년 시각 전략

요약

제안서 디자인은 단순한 꾸미기가 아닙니다. 심사위원의 첫인상을 결정하고, 복잡한 정보를 쉽게 전달하며, 최종 점수를 좌우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2025년 현재, 몰입형 비주얼 스토리텔링, AI 기반 디자인 최적화, 그리고 사용자 경험 중심 설계가 제안서 합격률을 높이는 3대 전략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이 글에서는 초보자도 바로 실행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과 실무 팁을 단계별로 안내합니다.


왜 제안서 디자인이 중요할까요?

제안서를 준비하다 보면 내용에만 집중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좋은 내용도 읽히지 않으면 의미가 없습니다.

심사위원은 평균 3~5분 안에 제안서의 첫인상을 결정합니다.

이 짧은 시간에 눈길을 사로잡지 못하면 아무리 훌륭한 기획도 묻힐 수 있습니다.

시각적 요소가 강화된 제안서는 그렇지 않은 제안서보다 심사위원의 주목도를 평균 30% 이상 높입니다.

실제로 저희 에이전시에서 진행한 프로젝트 중 디자인을 개선한 후 제안서 합격률이 42%에서 67%로 상승한 사례가 있습니다.

같은 내용이라도 어떻게 보여주느냐에 따라 결과가 완전히 달라지는 것이죠.


비밀 1: 몰입형 비주얼 스토리텔링으로 데이터에 생명 불어넣기

비주얼 스토리텔링이란?

비주얼 스토리텔링은 복잡한 데이터와 정보를 시각적 요소로 풀어내어 이야기처럼 전달하는 기법입니다.

단순한 그래프나 표가 아니라, 보는 사람이 자연스럽게 메시지를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설계합니다.

예를 들어볼까요?

Before: 엑셀에서 복사한 숫자 가득한 표 → 심사위원 "이게 뭐지?"

After: 시간 흐름에 따른 성장 곡선 + 주요 이정표 아이콘 → 심사위원 "아, 이렇게 성장했구나!"

2025년 트렌드: 무엇이 달라졌나?

  • 인터랙티브 인포그래픽: 클릭하면 세부 정보가 나타나는 동적 요소
  • 3D 데이터 시각화: 입체적으로 정보를 표현해 몰입도 향상
  • 미니멀리즘: 불필요한 장식 제거, 핵심만 강조

실무 적용 5단계 가이드

1단계: 핵심 메시지 정의하기

제안서에서 가장 전달하고 싶은 한 가지 메시지를 명확히 합니다.

"우리 솔루션이 비용을 30% 절감합니다"처럼 구체적으로 정리하세요.

2단계: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메시지를 뒷받침할 객관적인 수치와 자료를 모읍니다.

고객사 데이터, 시장 조사 자료, 경쟁사 분석 등을 활용하세요.

3단계: 시각화 도구 선정

  • 간단한 차트: Canva, PowerPoint
  • 전문적인 인포그래픽: Adobe Illustrator, Figma
  • 데이터 대시보드: Tableau, Power BI

초보자라면 Canva의 무료 템플릿부터 시작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4단계: 스토리 흐름 설계

데이터를 나열하지 말고 이야기 구조로 배치하세요.

  • 도입: 현재 문제 상황
  • 전개: 우리의 해결책
  • 결말: 기대 효과

5단계: 디자인 구현 및 검증

실제 디자인을 만들고, 동료에게 보여주며 피드백을 받습니다.

"이 그래프가 무엇을 말하는지 3초 안에 이해되나요?" 질문해보세요.

실전 예시

사례: 마케팅 대행사 제안서에서 고객사의 매출 증가 추이를 보여줄 때

  • ❌ 나쁜 예: 엑셀 표를 그대로 붙여넣기
  • ✅ 좋은 예: 로켓이 상승하는 비주얼에 월별 매출을 표시하고, 주요 캠페인 시점을 아이콘으로 강조

이렇게 하면 "아, 이 캠페인 이후 매출이 급증했구나!"라는 인사이트가 즉각 전달됩니다.

주의사항

과도한 시각 효과는 오히려 독이 됩니다.

애니메이션이 너무 많거나 색상이 화려하면 집중력을 떨어뜨립니다.

"명확성"이 항상 "화려함"보다 우선입니다.


비밀 2: AI 기반 디자인 최적화로 시간과 품질 동시에 잡기

AI 디자인 툴, 정말 효과 있나요?

네, 확실히 있습니다.

AI 디자인 툴을 도입한 후 저희 팀의 제안서 디자인 작업 시간이 평균 20% 단축되었습니다.

이는 단순히 시간 절약만이 아니라, 더 많은 시간을 전략 수립에 투자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2025년 AI 디자인 트렌드

  • 자동 레이아웃 제안: 콘텐츠를 입력하면 최적의 배치를 추천
  • 개인화 템플릿: 산업군과 목적에 맞는 맞춤형 디자인
  • 콘텐츠 기반 이미지 생성: 텍스트 설명만으로 이미지 자동 생성

실무 적용 4단계 가이드

1단계: AI 디자인 툴 선택하기

초보자 추천 툴:

  • Canva: 가장 직관적이고 템플릿이 풍부함
  • Microsoft Designer: 파워포인트와 연동이 편리함
  • Adobe Sensei: 전문가용, 고급 기능 제공

무료 버전부터 시작해서 필요에 따라 유료 전환하세요.

2단계: 템플릿 활용 및 커스터마이징

AI가 제안하는 템플릿을 그대로 쓰지 마세요.

고객사의 브랜드 컬러, 로고, 폰트를 적용해 "우리만의" 제안서로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3단계: AI 이미지 생성 활용

"혁신적인 기술을 상징하는 이미지"처럼 키워드를 입력하면 AI가 여러 옵션을 생성합니다.

저작권 걱정 없이 고품질 이미지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4단계: 인간의 감각으로 마무리

AI 결과물을 100% 신뢰하지 마세요.

반드시 사람의 눈으로 최종 검토하고, 어색한 부분을 수정해야 합니다.

실전 예시

사례: IT 솔루션 제안서 표지 디자인

Canva에 "클라우드 컴퓨팅, 미래지향적, 파란색"을 입력했더니 10개의 표지 디자인이 생성되었습니다.

그중 하나를 선택해 고객사 로고와 프로젝트명을 추가했고, 30분 만에 전문가 수준의 표지를 완성했습니다.

과거에는 디자이너에게 의뢰해 2~3일 걸리던 작업이었습니다.

주의사항

AI는 도구일 뿐, 전략과 창의성은 사람의 몫입니다.

"AI가 만들어줬으니 됐다"가 아니라 "AI 결과물을 어떻게 우리 메시지에 맞게 다듬을까?"를 고민하세요.


비밀 3: 사용자 경험(UX) 중심 설계로 가독성 극대화

UX 중심 제안서란?

사용자 경험(UX)은 원래 웹사이트나 앱에서 쓰는 용어입니다.

하지만 제안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심사위원이 "사용자"라고 생각하고, 그들이 정보를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2025년 UX 디자인 트렌드

  • 명확한 정보 계층: 제목-소제목-본문이 시각적으로 명확히 구분
  • 일관된 디자인 시스템: 같은 폰트, 색상, 간격을 전체에 적용
  • 접근성 고려: 색맹/색약 사용자도 불편 없이 읽을 수 있는 디자인
  • 인터랙티브 요소: 클릭 가능한 목차로 원하는 페이지로 즉시 이동

실무 적용 5단계 가이드

1단계: 정보 구조 설계

제안서 전체를 논리적으로 나눕니다.

  • 요약 (1~2페이지)
  • 문제 정의 (3~5페이지)
  • 해결책 제시 (6~15페이지)
  • 실행 계획 (16~20페이지)
  • 예산 및 일정 (21~25페이지)

각 섹션의 중요도에 따라 페이지 수를 배분하세요.

2단계: 디자인 시스템 구축

일관성이 전문성을 만듭니다.

  • 제목: 나눔스퀘어 Bold, 24pt, 네이비
  • 소제목: 나눔스퀘어 Regular, 18pt, 그레이
  • 본문: 나눔고딕, 11pt, 블랙
  • 강조: 브랜드 컬러로 하이라이트

이 규칙을 전체 제안서에 일관되게 적용하세요.

3단계: 가독성 최적화

  • 줄 간격은 1.5배 이상
  • 한 줄에 15~20단어 이내
  • 여백을 충분히 활용 (페이지의 30~40%는 빈 공간)
  • 명암비 4.5:1 이상 유지 (흰 배경에 연한 회색 글자는 피하기)

4단계: 탐색 용이성 확보

심사위원이 원하는 정보를 3클릭 안에 찾을 수 있어야 합니다.

  • 첫 페이지에 클릭 가능한 목차 배치
  • 각 페이지 상단에 현재 위치 표시
  • 중요 섹션에 북마크 추가
  • 관련 페이지로 연결되는 하이퍼링크 삽입

5단계: 모바일 호환성 체크

요즘은 태블릿이나 스마트폰으로 제안서를 검토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PDF로 저장할 때 "모바일 최적화" 옵션을 체크하세요.

실전 예시

사례: 건설사 제안서 UX 개선 프로젝트

개선 전:

  • 80페이지 분량에 목차도 없음
  • 심사위원이 예산 페이지를 찾는 데 5분 소요

개선 후:

  • 첫 페이지에 클릭 가능한 목차 추가
  • 예산 섹션에 바로 이동하는 링크 삽입
  • 주요 내용을 요약한 "1페이지 요약본" 제공

결과: 심사위원 피드백 "정보를 찾기가 훨씬 수월했다"라는 긍정 평가

주의사항

너무 창의적인 시도는 오히려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세로 쓰기, 비대칭 레이아웃 등은 예술 작품에는 좋지만 제안서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익숙함 속의 차별화"를 추구하세요.


실전 체크리스트: 제안서 디자인 자가 진단

제안서를 제출하기 전 아래 항목을 체크해보세요.

비주얼 스토리텔링

  • [ ] 모든 데이터에 시각적 요소(그래프, 차트, 아이콘)를 적용했는가?
  • [ ] 각 비주얼이 3초 안에 이해 가능한가?
  • [ ] 색상 사용이 3가지 이내로 제한되었는가?
  • [ ] 주요 메시지가 시각적으로 강조되었는가?

AI 디자인 활용

  • [ ] AI 툴로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을 확인했는가?
  • [ ] AI 템플릿을 우리 브랜드에 맞게 커스터마이징했는가?
  • [ ] 자동 생성 결과물을 사람이 최종 검토했는가?

UX 설계

  • [ ] 클릭 가능한 목차가 있는가?
  • [ ] 폰트와 색상이 전체적으로 일관적인가?
  • [ ] 여백이 충분히 확보되었는가?
  • [ ] 페이지 번호가 명확히 표시되었는가?
  • [ ] 모바일에서도 읽기 편한가?

최종 점검

  • [ ] 오타와 문법 오류가 없는가?
  • [ ] 이미지 해상도가 300dpi 이상인가?
  • [ ] PDF 파일 크기가 10MB 이하인가?
  • [ ] 인쇄했을 때도 가독성이 유지되는가?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디자인 경험이 전혀 없는데,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나요?

Canva 같은 초보자용 툴의 무료 템플릿부터 시작하세요.

템플릿을 그대로 쓰지 말고, 색상과 텍스트만 바꿔보면서 감을 익히는 것이 좋습니다.

YouTube에 "Canva 제안서 만들기" 검색하면 무료 강의가 많습니다.

Q2. AI 디자인 툴, 유료 버전을 꼭 써야 하나요?

초기에는 무료 버전으로도 충분합니다.

다만 고해상도 이미지 다운로드, 브랜드 킷 저장 같은 기능이 필요하면 유료 전환을 고려하세요.

Canva Pro는 월 12,000원 정도로 합리적입니다.

Q3. 제안서 분량이 많으면 디자인이 어려운데, 팁이 있나요?

100페이지가 넘는 제안서라도 핵심은 앞 10페이지입니다.

요약본과 주요 섹션에 집중해서 디자인하고, 나머지는 일관된 템플릿만 유지하세요.

모든 페이지를 화려하게 만들 필요는 없습니다.

Q4. 고객사 브랜드 가이드라인이 너무 엄격한데, 어떻게 하죠?

가이드라인은 반드시 준수해야 합니다.

대신 레이아웃, 아이콘, 인포그래픽 스타일로 차별화하세요.

같은 색상과 폰트를 써도 배치와 시각 요소로 충분히 창의적일 수 있습니다.

Q5. 제안서 디자인에 얼마나 시간을 투자해야 하나요?

전체 제안서 준비 시간의 20~30% 정도가 적정합니다.

예를 들어 10일 일정이면 2~3일은 디자인에 할애하세요.

너무 적으면 완성도가 떨어지고, 너무 많으면 내용이 부실해집니다.


용어 설명 (Glossary)

비주얼 스토리텔링

데이터와 정보를 시각적 요소(그래프, 이미지, 아이콘)로 풀어내어 이야기처럼 전달하는 기법. 복잡한 내용을 직관적으로 이해시키는 데 효과적입니다.

인포그래픽

정보(Information)와 그래픽(Graphic)의 합성어. 텍스트로만 설명하기 어려운 내용을 이미지, 차트, 아이콘 등으로 시각화한 자료입니다.

UX (사용자 경험)

User Experience의 약자. 사용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느끼는 전반적인 경험. 제안서에서는 심사위원이 정보를 얼마나 쉽게 찾고 이해하는지를 의미합니다.

디자인 시스템

일관된 시각적 규칙(폰트, 색상, 간격, 아이콘 스타일 등)을 정의한 가이드. 전체 제안서의 통일성과 전문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입니다.

명암비

텍스트와 배경 색상의 대비 정도. 4.5:1 이상이어야 가독성이 확보됩니다. 예: 흰 배경에 진한 회색 글자는 OK, 연한 회색 글자는 NG.

AI 디자인 툴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자동으로 레이아웃을 제안하거나 이미지를 생성하는 디자인 소프트웨어. Canva, Adobe Sensei, Microsoft Designer 등이 대표적입니다.

인터랙티브 요소

PDF에서 클릭하면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거나 추가 정보가 나타나는 기능. 목차, 하이퍼링크, 북마크 등이 포함됩니다.

템플릿

미리 만들어진 디자인 틀. 내용만 채우면 빠르게 완성할 수 있어 초보자에게 유용하지만, 반드시 커스터마이징해서 사용해야 차별화됩니다.


마무리: 디자인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2025년 현재, 제안서 디자인은 더 이상 "있으면 좋은" 요소가 아닙니다.

심사위원의 첫인상을 결정하고, 복잡한 정보를 명확히 전달하며, 최종 점수를 좌우하는 핵심 경쟁력입니다.

오늘 소개한 3가지 비밀을 다시 정리하면:

  1. 몰입형 비주얼 스토리텔링: 데이터에 이야기를 입혀 감동을 전달하세요
  2. AI 기반 디자인 최적화: 기술의 힘을 빌려 시간과 품질을 동시에 잡으세요
  3. UX 중심 설계: 심사위원이 정보를 쉽게 찾고 이해하도록 배려하세요

당장 내일부터 실행할 수 있는 작은 변화가 큰 차이를 만듭니다.

제안서 표지에 AI로 생성한 이미지 하나만 추가해도, 클릭 가능한 목차 하나만 넣어도 결과는 달라집니다.


제안서 디자인, 혼자 고민하지 마세요

"이론은 알겠는데, 우리 프로젝트에는 어떻게 적용하지?"

"시간이 부족해서 디테일까지 신경 쓸 여력이 없어..."

이런 고민을 하고 계신다면 에이달이 도와드리겠습니다.

저희는 10년 이상 다양한 산업군의 제안서 디자인을 지원해온 크리에이티브 에이전시입니다.

단순히 예쁘게 꾸미는 것이 아니라, 전략적으로 점수를 올리는 디자인을 제공합니다.

에이달과 함께하면

  • 업종별 맞춤형 디자인 전략 수립
  • AI 툴과 전문 디자이너의 협업으로 빠르고 정확한 작업
  • 제안서 전체 프로세스 컨설팅 (기획부터 최종 검토까지)

지금 무료 컨설팅을 신청하시면 제안서 디자인 체크리스트와 함께 1:1 맞춤 피드백을 제공해드립니다.

연락처 📞 02-2664-8631 ✉️ master@adall.co.kr 📍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대로31길 2, 5~6층

제안서 디자인 하나로 프로젝트 성공률을 높이세요.

에이달이 함께합니다.

무료 컨설팅 받아보고 싶다면?

무료 컨설팅 신청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