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달 주식회사 개인정보 처리방침
[1.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에이달 주식회사(이하 ‘회사’)는 다음의 목적을 위하여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있으며,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하지 않습니다.
– 고객에 대한 상담 서비스 제공에 따른 본인 식별・인증, 물품 또는 서비스 공급에 따른 금액 결제, 서비스의 공급 등

[2. 개인정보의 처리]

회사는 정보주체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집할 때 동의 받은 개인정보 보유・이용기간 또는 법령에 따른 개인정보 보유・이용기간 내에서 개인정보를 처리・보유합니다.


[3. 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방법 이용자는 개인정보주체로써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정보주체는 회사에 대해 언제든지 다음 각 호의 개인정보 보호 관련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요구
2. 오류 등이 있을 경우 정정 요구
3. 삭제요구
4. 처리정지 요구


[4. 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보유 기간]

회사는 다음의 개인정보 항목을 처리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https://adall.co.kr) 사용 시 제공 동의를 해주시는 개인정보 수집 항목입니다.

■ 페이지 문의 시
– 필수항목 : 직장명, 이름, 연락처(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고객문의 및 상담요청에 대한 회신, 상담을 위한 서비스 이용기록 조회
– 보유기간 : 문의 접수 후 2년 간 보관 (단, 관계 법령이 정한 시점까지 보존)

■ 입사지원 시
– 필수항목 : 이름, 연락처(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입사지원 요청에 대한 회신, 상담을 위한 서비스 이용기록 조회
– 보유기간 : 지원 접수 후 2년 간 보관 (단, 관계 법령이 정한 시점까지 보존)

■ 뉴스레터 신청 시
– 필수항목 : 이메일
– 수집목적 : 뉴스레터 발송 요청에 대한 회신, 정기 발송을 위한 서비스 이용기록 조회
– 보유기간 : 구독 해지 후 2년 간 보관 (단, 관계 법령이 정한 시점까지 보존)


[5. 개인정보의 파기]

회사는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처리목적이 달성된 경우에는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파기의 절차, 기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파기절차
이용자가 입력한 정보는 목적 달성 후 내부 방침 및 기타 관련 법령에 따라 일정기간 저장된 후 혹은 즉시 파기됩니다. 이 때, 개인정보는 법률에 의한 경우가 아니고서는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습니다.

-파기기한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개인정보의 보유기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보유기간의 종료일로부터 5일 이내에,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5일 이내에 그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6. 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에 관한 사항]

① 페이지는 개별적인 맞춤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②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s)가 이용자의 컴퓨터 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용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가. 쿠키의 사용 목적 : 이용자가 방문한 각 서비스와 웹 사이트들에 대한 방문 및 이용형태, 인기 검색어, 보안접속 여부, 등을 파악하여 이용자에게 최적화된 정보 제공을 위해 사용됩니다.
나.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웹브라우저 상단의 도구>인터넷 옵션>개인정보 메뉴의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저장을 거부 할 수 있습니다.
다. 쿠키 저장을 거부할 경우 맞춤형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7.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① 회사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성명 : 김지완
직위 : 대표
연락처 : 02-2664-8631
이메일 : master@adall.co.kr

▶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성명 : 곽재형
직위 : 이사
연락처 : 02-2664-8631
이메일 : jh.gwak@adall.co.kr

② 회사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회사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지체 없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8. 개인정보 처리방침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되며, 법령 및 방침에 따른 변경내용의 추가, 삭제 및 정정이 있는 경우에는 변경사항의 시행 7일 전부터 공지사항을 통하여 고지할 것입니다.


[9.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회사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① 개인정보 취급 직원의 최소화 및 교육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직원을 지정하고 담당자에 한정시켜 최소화 하여 개인정보를 관리하는 대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②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변경,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를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0. 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아래의 기관은 회사와는 별개의 기관으로서, 페이지의 자체적인 개인정보 불만처리, 피해구제 결과에 만족하지 못하시거나 보다 자세한 도움이 필요하시면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한국인터넷진흥원 운영)
– 소관업무 : 개인정보 침해사실 신고, 상담 신청
– 홈페이지 : privacy.kisa.or.kr
– 전화 : (국번없이) 118
– 주소 : (58324) 전남 나주시 진흥길 9(빛가람동 301-2) 3층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개인정보 분쟁조정위원회
– 소관업무 : 개인정보 분쟁조정신청, 집단분쟁조정 (민사적 해결)
– 홈페이지 : www.kopico.go.kr
– 전화 : (국번없이) 1833-6972
– 주소 : (03171)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209 정부서울청사 4층

▶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 02-3480-3573 (www.spo.go.kr)

▶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 182 (http://cyberbureau.police.go.kr)
확인
+
Quick menu

문의하기

취소
> 블로그 > RFP 평가 기준 완전 이해: 점수를 올리는 실전 가이드

RFP 평가 기준 완전 이해: 점수를 올리는 실전 가이드

RFP 평가 기준 완전 이해: 점수를 올리는 실전 가이드

RFP 평가 기준을 제대로 알면 제안의 방향이 선명해집니다. 이 글은 평가표를 해석하고 대응하는 쉬운 방법을 공유합니다. 현장에서 통했던 실전 팁도 담았습니다.

TL;DR 요약

  • 평가표를 역으로 분해하고, 가중치가 높은 항목에 리소스를 집중하세요.
  • 증거 중심으로 쓰고, 주장보다 데이터와 레퍼런스가 앞서야 합니다.
  • 심사위원의 채점 흐름에 맞춘 목차와 디자인이 점수를 올립니다.
  • 내부 리뷰 2회, 외부 리뷰 1회를 표준 프로세스로 고정하세요.

핵심 개념과 쉬운 설명(초보자용)

RFP는 발주처의 공식 제안 요청 문서입니다. 요구사항, 범위, 일정, 평가 방식이 담깁니다. 초심자에게는 길고 복잡해 보이지만, 구조는 단순합니다. 평가표는 심사위원이 점수를 매길 기준표입니다. 보통 가중치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술 40, 가격 30, 실행 20, 디자인 10 같은 구조입니다. Scorecard는 평가표의 다른 말입니다. 우리는 이를 엑셀로 재작성합니다. 이유는 계산을 통해 우선순위를 눈에 보이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RFP 평가 기준을 읽는 법

  • 먼저 평가 표 항목과 가중치를 찾아 복사합니다. Excel에 옮겨 합계가 100이 맞는지 체크합니다.
  • 각 항목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평이한 언어로 바꿉니다. 예: 혁신성 -> 기존 방식 대비 무엇이 더 빠르고 정확한가.
  • 점수 차이가 날 포인트를 표시합니다. 가중치가 큰 곳과 경쟁사가 약할 곳입니다.

포인트: 심사위원은 시간이 부족합니다. 한 눈에 채점 가능한 구조가 최고의 친절입니다.

단계별 실행 가이드(번호 목록)

  1. 평가표 수집과 정리: RFP에서 평가표, 채점 기준, 제출 양식 페이지를 따로 모읍니다. Notion이나 폴더로 분류합니다.
  2. 가중치 계산: 항목별 가중치를 Excel에 입력하고 우선순위 점수를 계산합니다. 점수 x 가중치 = 항목 점수입니다.
  3. 스토리라인 설계: 가중치 상위 3개 기준으로 제안의 흐름을 정합니다. 목차도 이 순서를 따릅니다.
  4. 증거 수집: 각 기준을 증명할 데이터, 케이스, 지표를 모읍니다. 인증서, 실적 레터, 화면 캡처, Figma 시안까지 포함합니다.
  5. 원페이지 요약 작성: 심사위원이 첫 2분에 이해하도록 1장 요약을 만듭니다. 핵심 수치와 차별화 포인트만 남깁니다.
  6. 디자인 가독성: 채점 항목별로 색깔을 통일합니다. 아이콘과 번호로 항목 매칭을 쉽게 만듭니다.
  7. 리스크와 대안: 위험 가정 3개를 쓰고, 대응 계획과 SLA 같은 운영수치로 보완합니다.
  8. 프리모크 심사: 내부 심사위원 3인이 실제 채점표로 채점합니다. 평균 90점 이상일 때 제출합니다.

실전 팁

  • 문장 길이는 2줄을 넘기지 마세요. 표와 인포그래픽이 더 잘 먹힙니다.
  • 가격은 무조건 싸게보다, 가치 근거를 수치로 설명하세요. 유지보수 절감, 교육 비용 절감 등을 환산합니다.

예시/템플릿/체크리스트

평가표 역공학 체크리스트

  • 가중치 상위 3개 항목에 페이지의 60% 이상 할당했는가
  • 각 항목에 실증 자료 2개 이상 첨부했는가(지표, 인증, 사례)
  • 목차가 평가 항목 순서를 따라가는가
  • 요약 1페이지에 핵심 수치 5개 이내로 제시했는가
  • 제출 양식, 폰트, 파일명 규칙을 100% 준수했는가
  • Scorecard와 본문 페이지 번호가 1:1 매칭되는가

간단 계산 예시

  • 기술 역량 40% x 95점 = 38점
  • 운영 계획 30% x 90점 = 27점
  • 가격 20% x 85점 = 17점
  • 디자인 10% x 90점 = 9점
  • 총점 = 91점 → 상위권 가능

실전 사례

저희 팀은 공공 캠페인 미디어 프로젝트에서 비슷한 RFP를 경험했습니다. 초기 초안은 장점이 분산되어 있었습니다. 심사위원 입장에서 점을 줄 근거가 흐렸습니다. 평가표를 엑셀로 재구성하고, 상위 항목 3개에 콘텐츠를 재배치했습니다. 주장 문장마다 실증 링크를 붙였습니다. 결과적으로 평가표 기준 총점이 82.3점에서 92.1점으로 올랐습니다. 가격은 동일했지만, Scorecard 정렬만으로 체감 신뢰도가 상승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Q1. 평가표가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어떻게 준비하죠? A1. 과거 유사 RFP를 수집해 공통 항목을 가정합니다. 70%는 반복됩니다. 발주처의 공시자료와 보도자료로 가중치 힌트를 찾습니다.

Q2. 디자인이 점수에 얼마나 영향이 있나요? A2. 직접 점수가 낮아도 가독성이 근거 인지를 돕습니다. 결과적으로 평가표 점수 편차를 줄여 평균을 올립니다.

Q3. 가격은 어디까지 낮춰야 하나요? A3. 원가와 리스크를 계산해 하한선을 정하세요. 그 대신 서비스 레벨을 명확히 해 체감 가치를 부각합니다.

Q4. 스타트업도 경쟁할 수 있나요? A4. 가능합니다. 실적이 약하면 방법론과 파일럿 제안으로 보완합니다. 무료 PoC 기간 제안도 입찰 경쟁력에 도움이 됩니다.


용어 설명(Glossary)

  • RFP: Request for Proposal의 약자. 발주처가 제안서를 요청하는 공식 문서.
  • 평가표: 심사 기준을 점수화한 표. 가중치와 배점이 포함됩니다.
  • 가중치: 항목 중요도를 숫자로 표현한 값. 합계는 보통 100입니다.
  • Scorecard: 평가표의 영어식 표현. 채점 기준을 한 눈에 보이게 정리한 시트.
  • PoC: Proof of Concept. 소규모로 개념을 검증하는 테스트.
  • SLA: Service Level Agreement. 서비스 수준을 수치로 약속한 문서.

우리 에이전시의 접근법

우리는 10년 넘게 디지털 마케팅 제안과 실행을 해 왔습니다. 제안은 창의력만으로 이기지 않습니다. 구조가 필요합니다.

  • 평가표 역공학: 가중치 분석으로 콘텐츠 배분을 설계합니다.
  • 위닝 테마 개발: 발주처의 미션과 KPI를 한 문장 가치 제안으로 압축합니다.
  • 증거 라이브러리: 검증된 레퍼런스와 지표를 모아 바로 삽입합니다.
  • 디자인 스프린트: 48시간 내 가독성 높은 시안을 완성합니다. 이 과정은 초보 팀도 쉽게 따라올 수 있게 Notion 템플릿으로 제공됩니다. 제안서 차별화가 자연스럽게 완성됩니다.

마무리: 핵심 요점 정리 + 다음 행동(CTA)

핵심은 간단합니다. RFP 평가 기준을 중심에 두고, 가중치가 높은 곳에 증거와 디자인을 집중하세요. 내부 프리모크로 빈틈을 닫으면 점수는 오릅니다. 필요한 건 습관화된 프로세스입니다. 지금 진행 중인 공고가 있나요? 30분 무료 컨설팅으로 평가표 정리부터 방향 잡기까지 함께 보겠습니다. 문의를 남겨 주시면, 맞춤 Scorecard와 초기 스토리라인을 빠르게 드립니다.


덧붙임: SEO 키워드 안내

  • 기본 키워드: RFP 평가 기준
  • 보조 키워드: 제안서 차별화, 평가표 점수, 입찰 경쟁력
#마케팅 #디지털마케팅 #비즈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