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달 주식회사 개인정보 처리방침
[1.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에이달 주식회사(이하 ‘회사’)는 다음의 목적을 위하여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있으며,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하지 않습니다.
– 고객에 대한 상담 서비스 제공에 따른 본인 식별・인증, 물품 또는 서비스 공급에 따른 금액 결제, 서비스의 공급 등

[2. 개인정보의 처리]

회사는 정보주체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집할 때 동의 받은 개인정보 보유・이용기간 또는 법령에 따른 개인정보 보유・이용기간 내에서 개인정보를 처리・보유합니다.


[3. 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방법 이용자는 개인정보주체로써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정보주체는 회사에 대해 언제든지 다음 각 호의 개인정보 보호 관련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요구
2. 오류 등이 있을 경우 정정 요구
3. 삭제요구
4. 처리정지 요구


[4. 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보유 기간]

회사는 다음의 개인정보 항목을 처리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https://adall.co.kr) 사용 시 제공 동의를 해주시는 개인정보 수집 항목입니다.

■ 페이지 문의 시
– 필수항목 : 직장명, 이름, 연락처(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고객문의 및 상담요청에 대한 회신, 상담을 위한 서비스 이용기록 조회
– 보유기간 : 문의 접수 후 2년 간 보관 (단, 관계 법령이 정한 시점까지 보존)

■ 입사지원 시
– 필수항목 : 이름, 연락처(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입사지원 요청에 대한 회신, 상담을 위한 서비스 이용기록 조회
– 보유기간 : 지원 접수 후 2년 간 보관 (단, 관계 법령이 정한 시점까지 보존)

■ 뉴스레터 신청 시
– 필수항목 : 이메일
– 수집목적 : 뉴스레터 발송 요청에 대한 회신, 정기 발송을 위한 서비스 이용기록 조회
– 보유기간 : 구독 해지 후 2년 간 보관 (단, 관계 법령이 정한 시점까지 보존)


[5. 개인정보의 파기]

회사는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처리목적이 달성된 경우에는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파기의 절차, 기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파기절차
이용자가 입력한 정보는 목적 달성 후 내부 방침 및 기타 관련 법령에 따라 일정기간 저장된 후 혹은 즉시 파기됩니다. 이 때, 개인정보는 법률에 의한 경우가 아니고서는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습니다.

-파기기한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개인정보의 보유기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보유기간의 종료일로부터 5일 이내에,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5일 이내에 그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6. 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에 관한 사항]

① 페이지는 개별적인 맞춤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②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s)가 이용자의 컴퓨터 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용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가. 쿠키의 사용 목적 : 이용자가 방문한 각 서비스와 웹 사이트들에 대한 방문 및 이용형태, 인기 검색어, 보안접속 여부, 등을 파악하여 이용자에게 최적화된 정보 제공을 위해 사용됩니다.
나.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웹브라우저 상단의 도구>인터넷 옵션>개인정보 메뉴의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저장을 거부 할 수 있습니다.
다. 쿠키 저장을 거부할 경우 맞춤형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7.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① 회사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성명 : 김지완
직위 : 대표
연락처 : 02-2664-8631
이메일 : master@adall.co.kr

▶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성명 : 곽재형
직위 : 이사
연락처 : 02-2664-8631
이메일 : jh.gwak@adall.co.kr

② 회사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회사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지체 없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8. 개인정보 처리방침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되며, 법령 및 방침에 따른 변경내용의 추가, 삭제 및 정정이 있는 경우에는 변경사항의 시행 7일 전부터 공지사항을 통하여 고지할 것입니다.


[9.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회사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① 개인정보 취급 직원의 최소화 및 교육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직원을 지정하고 담당자에 한정시켜 최소화 하여 개인정보를 관리하는 대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②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변경,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를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0. 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아래의 기관은 회사와는 별개의 기관으로서, 페이지의 자체적인 개인정보 불만처리, 피해구제 결과에 만족하지 못하시거나 보다 자세한 도움이 필요하시면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한국인터넷진흥원 운영)
– 소관업무 : 개인정보 침해사실 신고, 상담 신청
– 홈페이지 : privacy.kisa.or.kr
– 전화 : (국번없이) 118
– 주소 : (58324) 전남 나주시 진흥길 9(빛가람동 301-2) 3층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개인정보 분쟁조정위원회
– 소관업무 : 개인정보 분쟁조정신청, 집단분쟁조정 (민사적 해결)
– 홈페이지 : www.kopico.go.kr
– 전화 : (국번없이) 1833-6972
– 주소 : (03171)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209 정부서울청사 4층

▶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 02-3480-3573 (www.spo.go.kr)

▶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 182 (http://cyberbureau.police.go.kr)
확인
+
Quick menu

문의하기

취소
> 블로그 > RFP 제안서 작성, 첫 문장부터 차별화하는 실전 전략

RFP 제안서 작성, 첫 문장부터 차별화하는 실전 전략

RFP 제안서 작성, 첫 문장부터 차별화하는 실전 전략

안녕하세요! 마케팅 실무자 여러분. 오늘은 제가 10년간 수많은 RFP 제안서를 작성하면서 터득한 차별화 전략에 대해 솔직하게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 왜 대부분의 제안서는 탈락할까?

제안서 평가 위원회에서 일했던 경험을 떠올려보면, 80%의 제안서는 첫 10페이지 안에서 운명이 결정됩니다. 충격적이죠? 하지만 이게 현실입니다.

"모든 제안서가 비슷해 보여요. 회사 소개부터 시작하는 제안서는 이제 그만..."

실제로 한 대기업 마케팅 담당자가 제게 했던 말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실전에서 검증된 차별화 전략 5가지

1. Executive Summary를 스토리텔링으로

기존 방식: - 회사 소개 → 프로젝트 이해 → 제안 내용 → 예산

차별화된 접근: - 클라이언트의 핵심 고민 → 우리의 솔루션 → 기대 효과 → 왜 우리여야 하는가

실제로 작년에 진행한 A사 디지털 전환 프로젝트에서 이 방식으로 접근했더니, "제안서를 읽는 내내 우리 이야기 같았다"는 피드백을 받았습니다.

2. 숫자로 말하는 구체적 성과

막연한 표현은 이제 그만! 구체적인 숫자로 승부하세요.

Bad Example: "브랜드 인지도를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Good Example: "6개월 만에 브랜드 인지도 34% 상승, 구매 전환율 2.3배 증가"

3. 비주얼 차별화 - 인포그래픽 활용

텍스트 위주의 제안서는 읽기 피곤합니다. 저는 주요 포인트마다 커스텀 인포그래픽을 제작해 넣습니다.

  • 복잡한 프로세스 → 플로우 차트
  • 예산 배분 → 도넛 차트
  • 타임라인 → 간트 차트
  • 성과 지표 → 대시보드 형태

4. 리스크 관리 섹션 추가

대부분의 제안서가 놓치는 부분이 바로 리스크 관리입니다. 클라이언트도 불안해하는 부분인데, 먼저 언급하고 대안을 제시하면 신뢰도가 확 올라갑니다.

리스크 관리 매트릭스 예시: - 예상 리스크 - 발생 가능성 (High/Medium/Low) - 영향도 (Critical/Major/Minor) - 대응 방안 - 책임자

5. 클라이언트 언어로 쓰기

이건 정말 중요한데요, RFP 문서에서 클라이언트가 사용한 핵심 키워드와 톤앤매너를 그대로 활용하세요.

예를 들어: - 금융권 → 안정성, 신뢰, 컴플라이언스 - 스타트업 → 혁신, 애자일, 그로스 - 공공기관 → 공익성, 투명성, 효율성


🚀 제안서 작성 체크리스트

제안서 제출 전, 꼭 확인하세요!

필수 체크 항목: - [ ] Executive Summary가 2페이지 이내인가? - [ ] 클라이언트의 핵심 고민이 명확히 정의되었는가? - [ ] 우리만의 차별화 포인트가 3개 이상 있는가? - [ ] 구체적인 숫자와 데이터가 포함되었는가? - [ ] 비주얼 요소가 전체의 30% 이상인가? - [ ] 리스크 관리 방안이 포함되었는가? - [ ] 예산 산출 근거가 명확한가?

📝 마무리하며

제안서는 단순한 문서가 아니라 클라이언트와의 첫 대화입니다. 10년간 수백 개의 제안서를 작성하면서 깨달은 건, 화려한 디자인보다 진정성 있는 솔루션이 더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제안서는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얼마나 깊이 이해했는지 보여주는 거울이다"

다음 RFP 제안서를 작성하실 때, 오늘 공유드린 전략들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여러분의 제안서가 수많은 경쟁사 사이에서 빛나기를 응원합니다! 💪

P.S. 제안서 작성에 대해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언제든 댓글로 남겨주세요.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답변드리겠습니다.

#마케팅 #디지털마케팅 #비즈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