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달 주식회사 개인정보 처리방침
[1.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에이달 주식회사(이하 ‘회사’)는 다음의 목적을 위하여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있으며,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하지 않습니다.
– 고객에 대한 상담 서비스 제공에 따른 본인 식별・인증, 물품 또는 서비스 공급에 따른 금액 결제, 서비스의 공급 등

[2. 개인정보의 처리]

회사는 정보주체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집할 때 동의 받은 개인정보 보유・이용기간 또는 법령에 따른 개인정보 보유・이용기간 내에서 개인정보를 처리・보유합니다.


[3. 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방법 이용자는 개인정보주체로써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정보주체는 회사에 대해 언제든지 다음 각 호의 개인정보 보호 관련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요구
2. 오류 등이 있을 경우 정정 요구
3. 삭제요구
4. 처리정지 요구


[4. 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보유 기간]

회사는 다음의 개인정보 항목을 처리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https://adall.co.kr) 사용 시 제공 동의를 해주시는 개인정보 수집 항목입니다.

■ 페이지 문의 시
– 필수항목 : 직장명, 이름, 연락처(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고객문의 및 상담요청에 대한 회신, 상담을 위한 서비스 이용기록 조회
– 보유기간 : 문의 접수 후 2년 간 보관 (단, 관계 법령이 정한 시점까지 보존)

■ 입사지원 시
– 필수항목 : 이름, 연락처(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입사지원 요청에 대한 회신, 상담을 위한 서비스 이용기록 조회
– 보유기간 : 지원 접수 후 2년 간 보관 (단, 관계 법령이 정한 시점까지 보존)

■ 뉴스레터 신청 시
– 필수항목 : 이메일
– 수집목적 : 뉴스레터 발송 요청에 대한 회신, 정기 발송을 위한 서비스 이용기록 조회
– 보유기간 : 구독 해지 후 2년 간 보관 (단, 관계 법령이 정한 시점까지 보존)


[5. 개인정보의 파기]

회사는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처리목적이 달성된 경우에는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파기의 절차, 기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파기절차
이용자가 입력한 정보는 목적 달성 후 내부 방침 및 기타 관련 법령에 따라 일정기간 저장된 후 혹은 즉시 파기됩니다. 이 때, 개인정보는 법률에 의한 경우가 아니고서는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습니다.

-파기기한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개인정보의 보유기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보유기간의 종료일로부터 5일 이내에,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5일 이내에 그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6. 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에 관한 사항]

① 페이지는 개별적인 맞춤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②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s)가 이용자의 컴퓨터 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용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가. 쿠키의 사용 목적 : 이용자가 방문한 각 서비스와 웹 사이트들에 대한 방문 및 이용형태, 인기 검색어, 보안접속 여부, 등을 파악하여 이용자에게 최적화된 정보 제공을 위해 사용됩니다.
나.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웹브라우저 상단의 도구>인터넷 옵션>개인정보 메뉴의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저장을 거부 할 수 있습니다.
다. 쿠키 저장을 거부할 경우 맞춤형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7.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① 회사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성명 : 김지완
직위 : 대표
연락처 : 02-2664-8631
이메일 : master@adall.co.kr

▶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성명 : 곽재형
직위 : 이사
연락처 : 02-2664-8631
이메일 : jh.gwak@adall.co.kr

② 회사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회사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지체 없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8. 개인정보 처리방침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되며, 법령 및 방침에 따른 변경내용의 추가, 삭제 및 정정이 있는 경우에는 변경사항의 시행 7일 전부터 공지사항을 통하여 고지할 것입니다.


[9.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회사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① 개인정보 취급 직원의 최소화 및 교육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직원을 지정하고 담당자에 한정시켜 최소화 하여 개인정보를 관리하는 대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②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변경,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를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0. 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아래의 기관은 회사와는 별개의 기관으로서, 페이지의 자체적인 개인정보 불만처리, 피해구제 결과에 만족하지 못하시거나 보다 자세한 도움이 필요하시면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한국인터넷진흥원 운영)
– 소관업무 : 개인정보 침해사실 신고, 상담 신청
– 홈페이지 : privacy.kisa.or.kr
– 전화 : (국번없이) 118
– 주소 : (58324) 전남 나주시 진흥길 9(빛가람동 301-2) 3층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개인정보 분쟁조정위원회
– 소관업무 : 개인정보 분쟁조정신청, 집단분쟁조정 (민사적 해결)
– 홈페이지 : www.kopico.go.kr
– 전화 : (국번없이) 1833-6972
– 주소 : (03171)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209 정부서울청사 4층

▶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 02-3480-3573 (www.spo.go.kr)

▶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 182 (http://cyberbureau.police.go.kr)
확인
+
Quick menu

문의하기

취소
> 블로그 > 브랜드 포지셔닝 전략 수립부터 실행까지: 시장에서 독보적 위치 선점하기

브랜드 포지셔닝 전략 수립부터 실행까지: 시장에서 독보적 위치 선점하기

브랜드 포지셔닝 전략 수립부터 실행까지: 시장에서 독보적 위치 선점하기

안녕하세요, 마케팅 실무자 여러분! 오늘은 제가 10년간 다양한 브랜드와 함께 일하며 터득한 브랜드 포지셔닝 전략의 모든 것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특히 한국 시장에서 실제로 효과를 봤던 방법들을 중심으로 말씀드릴게요.

🎯 브랜드 포지셔닝, 왜 중요한가?

제가 처음 마케팅을 시작했을 때, 한 스타트업 대표님이 이런 말씀을 하셨어요. "우리 제품이 정말 좋은데 왜 안 팔릴까요?" 답은 간단했습니다. 고객의 마음속에 명확한 자리가 없었기 때문이죠.

브랜드 포지셔닝은 단순히 '우리가 뭘 파는가'가 아니라 '고객이 우리를 어떻게 기억하는가'의 문제입니다.


📊 Step 1: 시장 분석과 경쟁사 매핑

1-1. 3C 분석으로 시작하기

Company(자사), Competitor(경쟁사), Customer(고객) - 이 세 가지를 동시에 바라봐야 합니다.

실제로 제가 컨설팅했던 한 화장품 브랜드의 경우: - 자사 강점: 천연 원료, 합리적 가격 - 경쟁사 포지션: 프리미엄 수입 브랜드들이 '럭셔리' 이미지 선점 - 고객 니즈: 피부 트러블은 해결하고 싶지만 비싼 제품은 부담스러움

1-2. 포지셔닝 맵 작성하기

두 가지 주요 축을 설정하고 경쟁사들을 배치해보세요. 예를 들어: - X축: 가격 (저가 ← → 고가) - Y축: 이미지 (실용적 ← → 감성적)

💡 실무 팁: MiroFigma 같은 협업 툴을 활용하면 팀원들과 실시간으로 포지셔닝 맵을 만들 수 있어요!


🎨 Step 2: 차별화 포인트 발굴하기

2-1. USP(Unique Selling Proposition) 찾기

제가 자주 사용하는 'Why-How-What 프레임워크'를 소개할게요:

  • Why: 우리 브랜드가 존재하는 이유
  • How: 우리만의 독특한 방식
  • What: 구체적인 제품/서비스

실제 사례로, 한 로컬 카페 브랜드의 USP 도출 과정: - Why: "바쁜 일상 속 진짜 휴식을 선물하고 싶어서" - How: "도심 속 정원 콘셉트, 1인 1테이블 보장" - What: "프리미엄 원두와 건강한 브런치"

2-2. 감정적 연결고리 만들기

기능적 차별화만으로는 부족합니다. 고객의 감정을 움직여야 해요.

스타벅스는 커피를 파는 게 아니라 '제3의 공간'을 판다고 하죠. 이게 바로 감정적 포지셔닝의 힘입니다.


📢 Step 3: 포지셔닝 스테이트먼트 작성

효과적인 포지셔닝 스테이트먼트 공식

[타겟 고객]에게
우리 [브랜드명]은/는
[카테고리]에서
[핵심 차별점]을 제공하는
[유일한/최고의/가장 ○○한] 브랜드입니다.
왜냐하면 [근거/이유] 때문입니다.

실제 작성 예시: "바쁜 2030 직장인들에게 우리 '데일리그린'은 샐러드 전문점 카테고리에서 15분 내 건강한 한 끼를 제공하는 가장 효율적인 브랜드입니다. 왜냐하면 모바일 주문과 AI 기반 영양 추천 시스템을 갖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 Step 4: 실행 전략과 커뮤니케이션

4-1. 일관된 메시지 전달

모든 터치포인트에서 동일한 포지셔닝이 느껴져야 합니다: - 웹사이트 톤앤매너 - SNS 콘텐츠 스타일 - 고객 응대 매뉴얼 - 패키지 디자인 - 매장 인테리어 (오프라인의 경우)

4-2. 단계별 실행 로드맵

1단계 (1-2개월): 내부 공감대 형성 - 전 직원 대상 포지셔닝 워크샵 - 브랜드 가이드라인 제작

2단계 (3-4개월): 시각적 구현 - VI(Visual Identity) 리뉴얼 - 마케팅 자료 업데이트

3단계 (5-6개월): 대외 커뮤니케이션 - 캠페인 론칭 - PR 활동 강화


📈 Step 5: 효과 측정과 조정

포지셔닝 성공 지표

제가 실무에서 활용하는 핵심 KPI들:

  • 브랜드 인지도: 타겟 고객층 대상 설문조사
  • 연상 이미지 일치도: 우리가 의도한 포지셔닝과 실제 인식 간 갭
  • 고객 충성도(NPS): 추천 의향 점수
  • 시장 점유율 변화: 카테고리 내 순위 변동

💡 실무 팁: 분기별로 구글 설문지타입폼을 활용해 간단한 브랜드 인식 조사를 진행해보세요. 비용도 저렴하고 인사이트는 풍부합니다!


🎯 마무리하며

브랜드 포지셔닝은 한 번에 완성되는 것이 아닙니다. 시장은 계속 변하고, 고객의 니즈도 진화하죠. 중요한 건 명확한 방향성을 가지고 꾸준히 일관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입니다.

제가 10년간 다양한 브랜드와 일하며 깨달은 건, 성공적인 포지셔닝은 '남들과 다른 것'이 아니라 '나답게 특별한 것'을 찾는 과정이라는 점이에요.

여러분의 브랜드만의 독특한 자리를 찾아가는 여정에 이 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로 남겨주세요! 🚀

다음 포스팅 예고: 포지셔닝이 완성되었다면, 이제 그것을 어떻게 시각적으로 구현할지가 중요하겠죠? 다음에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한 비주얼 가이드라인' 제작법을 상세히 다뤄보겠습니다.

#마케팅 #디지털마케팅 #비즈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