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10년간 다양한 공공기관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오늘은 공공기관 RFP의 특수성과 효과적인 대응 전략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민간 기업 제안과 공공기관 제안은 겉보기엔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완전히 다른 게임입니다. 제가 처음 공공기관 RFP에 도전했을 때 민간 기업 제안서처럼 접근했다가 크게 낭패를 본 기억이 있네요. 😅
공공기관 RFP의 가장 큰 특징은 평가 기준이 명확히 공개된다는 점입니다.
"기술평가 70점, 가격평가 30점" 같은 배점이 사전에 공개되며, 각 항목별 세부 배점까지 확인 가능합니다.
평가기준표를 프린트해서 벽에 붙여놓고 작업하세요민간 기업은 "자유롭게 작성하세요"라고 하지만, 공공기관은 "50페이지 이내, 초과 시 감점"이라고 명시합니다.
"혁신적인", "파격적인", "업계 최초" 같은 표현보다는 "안정적인", "검증된", "단계적"이라는 표현이 더 효과적입니다.
공공기관은 객관적 증빙을 매우 중시합니다. "많은 경험이 있습니다"가 아니라 "2022년 ○○부 프로젝트 수행 (계약서 첨부)"처럼 구체적으로 작성해야 합니다.
공공기관은 예정가격 대비 일정 비율 이하로만 제안 가능합니다. 너무 낮은 가격도 덤핑으로 간주되어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예정가격의 87.745% 이상을 제시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민간 기업처럼 열정적인 프레젠테이션보다는 차분하고 논리적인 설명이 더 효과적입니다.
공공기관은 정보보안과 개인정보보호를 매우 중시합니다. 관련 내용을 별도 챕터로 구성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ISMS-P 인증 보유 여부"지속적으로 관리하겠습니다"가 아니라 "월 1회 정기 점검, 분기별 보고서 제출, 연 2회 만족도 조사"처럼 구체적인 일정과 방법을 제시해야 합니다.
최근 공공기관은 ESG 경영과 사회적 가치 실현을 중요하게 평가합니다.
공공기관 RFP는 규정과 절차를 철저히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창의성보다는 안정성, 혁신보다는 신뢰성을 우선시하세요.
제가 공공기관 프로젝트에서 성공할 수 있었던 비결은 "공무원의 입장에서 생각하기"였습니다. 그들이 감사를 받을 때 문제가 되지 않을 제안, 그것이 바로 좋은 제안입니다.
마지막 꿀팁: 공공기관 RFP는 보통 나라장터에 공고되는데, 비슷한 기관의 과거 RFP를 찾아보면 평가 기준의 패턴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시간 투자할 가치가 충분히 있어요! 💪
다음에는 더 유용한 RFP 전략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무료 컨설팅 받아보고 싶다면?
무료 컨설팅 신청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