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 어트리뷰션 모델링 실무 적용법: 광고 성과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방법
2025년 09월 05일
#마케팅
#디지털마케팅
#비즈니스

마케팅 어트리뷰션 모델링 실무 적용법: 광고 성과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10년차 마케터입니다. 오늘은 많은 마케터들이 어려워하지만 꼭 알아야 할 마케팅 어트리뷰션 모델링에 대해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쉽게 풀어보려고 합니다.

최근 한 이커머스 클라이언트가 이런 고민을 털어놓았습니다. "페이스북, 구글, 네이버에 광고비를 쓰고 있는데, 어떤 채널이 실제로 매출에 기여하는지 모르겠어요." 바로 이럴 때 필요한 것이 어트리뷰션 모델링입니다.


어트리뷰션 모델링이란 무엇인가?

어트리뷰션(Attribution)은 고객이 구매에 이르기까지 거친 모든 마케팅 터치포인트의 기여도를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쉽게 말해, 100만원의 매출이 발생했을 때 어떤 광고 채널이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죠.

💡 핵심 포인트: 고객은 평균 7-10번의 터치포인트를 거쳐 구매를 결정합니다. 마지막 클릭만 보면 전체 그림을 놓칩니다.


주요 어트리뷰션 모델 비교

1. 라스트 클릭 (Last Click) 모델

  • 마지막 터치포인트에 100% 기여도 부여
  • 장점: 단순하고 이해하기 쉬움
  • 단점: 초기 인지 단계 채널 과소평가
  • 적합한 경우: 구매 주기가 짧은 제품

2. 퍼스트 클릭 (First Click) 모델

  • 첫 번째 터치포인트에 100% 기여도 부여
  • 장점: 신규 고객 유입 채널 파악 용이
  • 단점: 전환 유도 채널 과소평가
  • 적합한 경우: 브랜드 인지도 캠페인 평가

3. 선형 (Linear) 모델

  • 모든 터치포인트에 균등하게 기여도 분배
  • 장점: 공평한 평가
  • 단점: 실제 영향력 차이 무시
  • 적합한 경우: B2B 등 긴 구매 여정

4. 시간 감소 (Time Decay) 모델

  • 구매 시점에 가까울수록 높은 기여도
  • 장점: 현실적인 고객 행동 반영
  • 단점: 설정 복잡도 높음
  • 적합한 경우: 프로모션 중심 비즈니스

5. 데이터 기반 (Data-Driven) 모델

  • 머신러닝으로 실제 데이터 분석해 기여도 산정
  • 장점: 가장 정확한 측정
  • 단점: 충분한 데이터 필요 (월 600건 이상 전환)
  • 적합한 경우: 대규모 광고 집행 브랜드

실무 적용 5단계 프로세스

Step 1: 현재 상황 진단

먼저 Google AnalyticsAdobe Analytics에서 현재 사용 중인 모델을 확인하세요. 대부분 라스트 클릭 모델을 디폴트로 사용하고 있을 겁니다.

Step 2: 비즈니스 목표 정의

  • 신규 고객 획득이 목표? → 퍼스트 클릭 고려
  • 전환율 개선이 목표? → 시간 감소 모델 고려
  • 전체 최적화가 목표? → 데이터 기반 모델 고려

Step 3: 테스트 기간 설정

최소 3개월간 여러 모델을 병행 운영하며 비교하세요. 저는 보통 이렇게 설정합니다:

  • 주 모델: 시간 감소 (40일 반감기)
  • 비교 모델 1: 라스트 클릭
  • 비교 모델 2: 데이터 기반

Step 4: 채널별 기여도 분석

실제 사례를 보여드리겠습니다. 한 패션 쇼핑몰의 분석 결과입니다:

라스트 클릭 모델:

  • 네이버 검색광고: 45%
  • 직접 유입: 30%
  • 페이스북: 15%
  • 인스타그램: 10%

데이터 기반 모델:

  • 페이스북: 28%
  • 인스타그램: 25%
  • 네이버 검색광고: 27%
  • 직접 유입: 20%

보시다시피 소셜미디어의 실제 기여도가 훨씬 높았습니다!

Step 5: 예산 재분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광고 예산을 재분배하세요. 위 사례에서는 소셜미디어 예산을 30% 증액하고, 3개월 후 전체 ROAS가 23% 개선되었습니다.


실무 팁과 주의사항

Do's (꼭 해야 할 것들)

  • 크로스 디바이스 추적 설정: Google Signals 활성화는 필수
  • UTM 파라미터 일관성: 모든 캠페인에 체계적인 UTM 적용
  • 정기적인 모델 검토: 분기별로 모델 적합성 재평가
  • 이해관계자 교육: 팀원들이 어트리뷰션 개념 이해하도록 교육

Don'ts (하지 말아야 할 것들)

  • 단일 모델만 맹신하기
  • 오프라인 터치포인트 무시하기
  • 충분한 데이터 없이 성급한 결정
  • 브랜드 효과를 간과하기

도구별 어트리뷰션 설정 방법

Google Analytics 4 (GA4)

  1. 관리 → 속성 → 어트리뷰션 설정
  2. 보고 기간: 90일 추천 (B2B는 더 길게)
  3. 제외 채널 설정: 내부 트래픽, 테스트 캠페인

Facebook Attribution

  1. 비즈니스 관리자 → 측정 및 보고서
  2. 어트리뷰션 창: 7일 클릭 + 1일 조회 추천
  3. 통합 이벤트 측정(AEM) 활성화

Google Ads

  1. 도구 및 설정 → 측정 → 어트리뷰션
  2. 데이터 기반 모델 우선 적용
  3. 검색 광고와 디스플레이 별도 설정

마무리하며

어트리뷰션 모델링은 완벽한 답을 주는 마법 도구가 아닙니다. 하지만 "대충 맞는 것보다 정확히 틀리는 것이 낫다"는 말처럼, 지속적인 테스트와 개선을 통해 점점 더 정확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제가 10년간 마케팅을 하면서 깨달은 것은, 어트리뷰션 모델링을 제대로 활용하는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의 마케팅 효율성 차이가 평균 30-40%에 달한다는 것입니다. 여러분도 오늘부터 하나씩 적용해보시길 바랍니다.

🎯 액션 아이템: 지금 바로 GA4에 들어가서 모델 비교 보고서를 확인해보세요. 분명 놀라운 인사이트를 발견하실 겁니다!

무료 컨설팅 받아보고 싶다면?

무료 컨설팅 신청하기